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트래픽 브레이크, 교통경찰 졸음운전? 꿀팁

by 복베익초풍미 2024. 4. 2.
728x90
트래픽-브레이크-교통경찰-졸음운전-꿀팁-썸네일

 
자 오늘은 모든 운전자 분들이 반드시 꼭 알고 있어야 할 필수 내용인데요? 일단 유명한 사고 영상 화면부터 보시죠? 고속도로 한가운데 사람이 한 명 있습니다.
 

 
 
고속도로 전방에 교통사고가 났다고 급하게 알려주는 것 같은데요? 그런데 충격적인 건 지금부터입니다. 갑자기 옆쪽으로 뛰어가기 시작하는 데요?
 

 
 
왜냐하면 뒤따라오던 차들이 멈추지 못하고 자동차를 그대로 갖다 박기 때문입니다. 결국 원주 고속도로상에서 벌어진 이 블랙아이스(Black Ice) 사고로 차량 이십 여대가 연쇄로 추돌했는데요?
 

 

 
 
아 그런데 이분은 정말 너무 무모하고, 큰일 날 뻔했습니다. 다른 각도에서 보시면 더 소름 돋습니다. 이쯤에서 전방에 발생한 교통사고를 인식하고 자동차를 급히 멈추려고 하지만 이미 늦었죠?
 

 
 
자동차가 한 바퀴를 돌아서 가까스로 간신히 멈춥니다. 지금처럼 1차 교통사고 후에 이것 때문에 벌어지는 2차 교통사고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위험합니다.
 

 
 
이것은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사망률인데요? 여기 작은 게 일반 교통사고의 치사율이고 이 빨간색이 2차 교통사고인데요? 치사율이 무려 60%죠?
 

 
 
일반 교통사고보다 무려 대여섯 배나 높은 수치입니다. 각 기관들에서 기를 쓰고 2차 교통사고를 예방하려고 하는 게, 바로 이 엄청난 치사율 때문이죠?
 

 

 
 
2차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하면 진짜 연쇄적으로 대참사로 확대됩니다. 그래서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게 바로 이겁니다. 갑자기 고속도로 한가운데서 경찰차가 지그재그로 왔다 갔다 움직이면서 서행하는데요?
 

 
 
이런 걸 바로 트래픽 브레이크(Traffic Break)라고 합니다. 교통사고 발생 지점에서 서행하면서 일부러 교통 체증을 유발하는 건데요? 심지어 이때 경찰차를 추월하거나 지시를 어기면 신호 위반으로 6만 원의 범칙금도 부과됩니다.
 

 

 
 
사실 이것은 독일 같은 자동차 선진국에서는 예전부터 시행해 온 건데요? 그래서 지금처럼 경찰차가 갑자기 조금이라도 지그재그로 서행하면 다른 차량들은 알아서 이렇게 비상등을 켜면서 서행하는 교통 문화가 자리 잡았습니다.
 

 

 
 
보시다시피 단 한대의 자동차도 서행하고 있는 교통경찰 차량을 추월하지 않죠? 반면에 우리나라는 비교적 최근인 2016년 12월부터 이 트래픽 브레이크가 도입되었는데요?
 

 
 
그래서 보시다시피 아직 인지도가 낮아서 그런지, 이렇게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고 서행하고 있는 교통경찰 차량을 추월하는 차들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심지어 지그재그로 서행 운전하고 있는 교통경찰이 졸음 운전 하는 걸로 아는 분도 있고요. '이런 경찰은 누가 단속하나?' 하고 물어보는 분들이 있으시죠?
 

 
 
오늘은 트래픽 브레이크를 짧게 알아봤는데요? 범칙금도 범칙금이지만, 이건 우리 생명과 직결된 거라 모든 운전자 분들이 꼭 협조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오늘 숏 블로그도 유익하셨다면 공감 꾹~ 부탁드릴게요.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