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저도 이런 게 가능한지 몰랐던 건데요. 우리가 가끔 중고 거래 할 때 지금처럼 너무 멀면 어쩔 수 없이 직거래 못하고 계좌로 돈을 먼저 보내고 택배로 받는 경우 많은데요. 그러다 보니 상대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사기를 칠 수 있는 구조라서 지금도 하루에 무려 228건이나 이런 사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리 한국인들은 카페 같은 데서 물건을 절대 안 훔쳐 가는데, 왜 이런 자잘한 사기는 많이 치는지 이해가 안 가네요? 근데 이거 당해본 분들은 알겠지만 경찰에 신고해도 길면 몇 달씩이나 오래 걸리고 심지어 나중에 잡히더라도 돈은 못 돌려받는 경우도 많은데요?
근데 이거 경찰이 체포해서 잡기 전에 최대 50만 원까지 피해 금액을 미리 돌려받을 수 있는 거 아셨나요? 이게 오늘 숏 블로그의 핵심인데 바로 토스로 송금했을 때 가능합니다.
자, 일단 토스 어플을 실행하면 여기 오른쪽 하단에 전체 보이시죠? 여길 클릭 합니다. 그럼 맨 위에 고객센터라고 있는데요? 여길 눌러줍니다. 그다음 두 번째로 나와있는 "잘못 송금했어요."를 클릭하면 되는데요?
여기서 사기를 당해 송금했다는 바로 이걸 눌러주면 되죠? 그럼 이렇게 피해 사건 신고 페이지로 넘어가게 되는데요? 이렇게 가족 사칭 혹은 검찰 사칭 피싱 등의 금융사기에 당했다면, 최대 5천만 원까지 보상받을 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나와 있듯이 중고 거래를 하다가 사기를 당했다면 최대 50만 원까지 토스가 미리 보상을 해주는 안심 보상제를 시행 중입니다. 지금처럼 연락처를 기입하고 어떤 피해를 입었는지 종류와 피해 금액 등을 입력하기만 하면 되는데요?
그럼 토스에서 문자가 와서 필요한 서류를 말해주고 그에 따라서 제출하면 토스 내부 심사를 거쳐서 내 계좌로 입금해 주죠. 그리고 토스가 좋은 게 하나 더 있는데, 바로 지금처럼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송금하기를 누르면 사기 의심 계좌인지 바로 알림을 띄워준다는 건데요?
이게 경찰청 자료와 더 치트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거라 대부분 여기서 미리 걸리게 되죠. 괜히 사기꾼들이 이런저런 핑계 대면서 입금할 때 토스 어플은 쓰지 말라고 하는 게 다 이런 이유가 있는 거네요.
오늘도 조금이나마 도움 되셨다면 공감 꾹~ 눌러주세요.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